티스토리 뷰

 

 

들라크루아의 "사르다나팔루스의 죽음"

 

이 글은 제가 미술대학에 재학 중이었을 때 과제로 제출했던 내용입니다. 고전 미술이 다소 딱딱하고 지루하게 느껴졌던 반면, 예술가의 감정과 낭만을 표현하고자 했던 낭만주의 운동은 저에게 큰 흥미를 불러일으켰습니다. 이전에도 낭만주의에 대해 다룬 적이 있지만, 오늘은 낭만주의 이념을 바탕으로 활동한 대표적인 작가들인 제리코, 들라크루아, 고야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신고전주의에 반발한 낭만주의의 이념

신고전주의는 1800년에서 1850년 사이 유럽 전역에서 나타난 미술 운동으로, 신고전주의와 대조되는 미술 사조입니다.신고전주의는 프랑스 혁명으로 이성주의와 합리주의를 수용했습니다. 이에 따라 신고전주의는 이성과 합리성을 중시하며, 그에 따른 미적가치와 도덕적인 가치를 추구했습니다. 그러나 낭만주의는 프랑스 혁명과 산업혁명과 같은 변화의 과정 속에서 나타난 인간의 이기주의와 사회 분열을 목격하며, 이성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게 되었습니다. 이로써 낭만주의는 이성을 강조하는 신고전주의에 저항하며, 개인의 감정과 비합리적인 미신이나 전설, 직관에 눈을 돌리게 되었습니다.

낭만주의자들은 그림의 주제보다는 개인이 어떻게 바라보고 어떤 느낌과 감정을 받았는지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그들은 자유로운 색채와 붓터치를 통해 역동적이고 극적인 순간을 포착하려 했습니다. 이는 신고전주의가 도덕적 의식을 고취하기 위해 대상을 이상화시키고 고상하게 미화한 반면, 낭만주의자들은 아름답지 않은 추악한 것이라도 격렬한 감정과 극적인 느낌을 위해 그대로 그려내려 했음을 의미합니다.

이처럼, 신고전주의와 낭만주의는 예술의 성향과 목적에서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고전 미술은 주로 이상화된 형태와 도덕적 의식을 중시하며, 예술가의 개인적인 감정보다는 대상의 아름다움을 미화하고자 했습니다. 반면 낭만주의는 예술가의 개인적 감정과 경험, 심미적 감각을 중시하여 현실을 더욱 극대화하고자 했습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두 미술 사조는 각자의 독특한 예술적 특성을 발전시키고, 예술의 다양성과 발전에 기여하였습니다.

낭만주의의 시작, 제리코

테오도르 제리코(Theodore Gericault)는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반의 프랑스 화가로, 그의 작품은 낭만주의 미술의 대표적인 예시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그의 대표작인 "메두사호의 뗏목(Raft of the Medusa)"은 당시 사람들을 충격에 빠뜨린 비극적이고 잔혹한 조난 사고를 다룬 그림으로서, 그의 예술적 업적은 이 작품을 중심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실제로 발생한 사건을 바탕으로 하였는데, 메두사호(Medusa)라는 프랑스 해군의 빛나는 라이너급 페리가 1816년에 조난되었을 때의 상황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조난 사고로 약 150명의 승객이 13일 동안 뗏목에 갇혀 있었으며, 이 가운데 10명만이 생존하였습니다. 제리코는 이 사건을 그림으로 표현할 때, 고전주의적인 방식으로 그 사건을 미화시키는 대신에, 생생한 상황과 감정을 담으려고 노력했습니다. 이는 당시의 사실적인 현실을 그대로 전달하고자 했던 것으로 해석됩니다.

또한, 제리코는 이 작품에서 단순히 특정 인물을 영웅으로 만들기보다는, 전체적인 재난의 비극성과 현장의 치열한 상황을 그려내었습니다. 특히, 강렬한 빛과 어둠의 대조, 그리고 인물들의 역동적인 움직임과 구도는 그의 작품에 현장의 진실과 감정을 강력하게 전달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제리코는 그림을 통해 당시의 잔혹한 사건에 대한 사실적이고 감정적인 경험을 전달하려는 노력을 보여주었습니다.

또한, 제리코의 작품은 당시의 사회적 문제와 인간의 본성에 대한 깊은 인식을 담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제리코는 예술을 통해 현실을 진지하게 다루고,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했던 것으로 해석됩니다. 이러한 작품은 당대의 예술계뿐만 아니라, 현대 예술에도 큰 영향을 미치며, 제리코는 낭만주의 미술사에 큰 발자취를 남겼습니다.

잔혹한 실상을 그린, 들라크루아

들라크루아는 19세기 프랑스 낭만주의를 대표하는 화가로, 그의 작품은 독창적인 스타일과 주제 선정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신고전주의 화가들이 고전주의의 엄격함과 조화로움을 추구한 것과 대비적으로, 들라크루아는 이국적인 장면과 강렬한 감정 표현에 큰 관심을 보였습니다. 특히 아프리카 여행은 그의 예술에 깊은 영향을 미쳤으며, 이국적이고 다채로운 색채를 사용한 풍경과 인물들이 그의 작품 속에 생생히 반영되었습니다.

들라크루아의 대표작 "사르다나팔로스의 죽음"은 고대 전설을 소재로 하고 있습니다. 이 작품에서는 오시리스의 왕 사르다나팔루스가 적들의 공격을 앞두고 자신의 첩과 하인들을 죽이고 함께 죽음을 선택하는 비극적인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개인적이고 화려한 색채를 통해 강렬한 에너지를 전달하며, 고전주의의 조화와 통일성보다는 동적인 구성과 인물의 역동적인 움직임을 통해 화면에 폭력과 잔혹한 장면을 생동감 있게 표현했습니다.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 역시 들라크루아의 대표적인 작품 중 하나입니다. 고전주의자들이 영웅이나 여신을 엄숙하고 아름답게 표현한 것과 달리, 들라크루아는 극적인 상황과 생동감을 담으려 했습니다. 화면 중앙에서는 아름다움보다는 용기와 힘이 넘치는 여신이 시체를 넘어 전진하며, 그녀를 따르는 시민군들이 열정적으로 전투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초기에 "여신이 아름답지 않다"는 비판을 받았지만, 혁명의 열정과 당시의 생생한 기억을 전달하는 중요한 작품으로 현재는 높이 평가받고 있습니다.

스페인의 대표적인 낭만주의 화가, 고야

프란시스코 호세 데 고야(Francisco José de Goya)는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반에 걸쳐 활동한 스페인의 대표적인 낭만주의 화가입니다. 그의 작품은 당대의 사회, 정치적 상황에 대한 깊은 통찰과 인간 심리의 복잡한 양상을 포착하였으며, 그의 예술적 기법과 표현은 후대의 많은 화가들에게 영감을 주었습니다.

고야의 예술 여정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뉩니다; 그의 청력을 잃기 전의 '전기'와 청력을 상실한 '후기'로 구분됩니다. 전기의 고야는 화려하고 밝은 색채를 사용하여 귀족들의 초상화와 일상적인 장면들을 그렸습니다. 이 시기의 작품들은 상류층의 주문을 받아 제작된 것이 많으며, 밝고 생동감 넘치는 색채가 그의 작품의 특징입니다. 하지만, 그의 예술적 방향성은 그가 청력을 잃은 후 극적으로 변화합니다.

청력을 잃은 후의 고야는 사회와 인간의 어두운 면을 직시하게 되었고, 이는 그의 작품에도 깊이 반영됩니다. 이 시기의 대표작으로는 "자식을 삼키는 사트루누스, "옷을 벗은 마하", "1805년 5월 3일 마드리드" 등이 있으며, 이 작품들은 인간의 잔혹함, 전쟁의 공포, 사회적 부조리를 강렬한 이미지로 표현합니다. 특히, "자식을 삼키는 사트루누스"는 그리스 신화 속 사투르누스(크로노스)가 자신의 자식들을 삼키는 장면을 끔찍하고 강렬한 방식으로 그려내어 인간 내면의 어두움과 파괴적 본능을 상징적으로 표현했습니다.

"1805년 5월 3일 마드리드"는 나폴레옹 군에 의한 스페인 민간인 학살을 그린 작품으로, 전쟁의 잔혹함과 폭력성을 생생하게 담아내며, 고야가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있어 얼마나 강력한 목소리를 가졌는지 보여줍니다. 이 작품은 전쟁의 비참함과 인간의 고통을 그린 대표적인 예술 작품 중 하나로 꼽힙니다.

고야의 작품은 그의 주관적인 색채 사용과 대담한 붓터치로 인해 독특한 표현력을 지니며, 이는 후대의 화가들에게 큰 영감을 주었습니다. 그는 낭만주의의 정신을 담아내면서도 그 이상을 향해 나아갔으며, 현대 예술에 이르기까지 영향을 미친 중요한 예술가로 평가받고있습니다

결론

처음 '낭만주의'라는 용어를 들었을 때, 이것이 아름다운 사랑을 주제로 한 미술 운동일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낭만주의는 아름다움과 숭고함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이성보다는 감정을 우선하고 자유와 현실을 중요시하는 뜻을 담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낭만주의는 예술가가 이성적인 묘사보다는 개인의 판단과 감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나아갔으며, 이는 미술사에 깊은 영향을 남겼습니다..

반응형